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삼일절(3·1절)의 의미와 태극기 다는 방법 알아보기(+게양 위치)

by 러키유 2025. 2. 28.

1. 삼일절(3·1절)이란?

삼일절(三一節)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국경일로, 1919년 3월 1일 우리 민족이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며 독립을 외친 3.1운동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3.1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진 독립운동으로, 종교인, 학생, 농민 등 모든 계층이 참여한 대표적인 비폭력 저항운동이었습니다. 이날 선포된 독립선언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고, 이후 독립운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삼일절은 공휴일일까?"

삼일절은 대한민국의 법정 공휴일입니다. 많은 관공서, 기업, 학교가 휴무하며, 국가에서는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합니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태극기를 게양하여 삼일절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삼일절 태극기 다는 방법은?

1. 태극기 게양 시간

  • 게양 시작: 3월 1일 오전 7시
  • 게양 종료: 3월 1일 오후 6시
  • 날씨가 흐리거나 밤에 태극기를 계속 달아두고 싶다면 조명을 밝혀서 태극기가 잘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2. 태극기 다는 위치와 방향

단독주택 및 건물에서 태극기 게양법

  • 대문 왼쪽이나 중앙에 달기

아파트 및 공동주택에서 태극기 게양법

    • 세대 난간의 왼쪽이나 중앙에 달기

자동차 태극기 게양법

  • 전면에서 볼 때 왼쪽에 달기

※ 경축일 및 평일

[5대 국경일: 3·1절, 제헌절, 광복절,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및 정부지정일]

-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답니다.

※ 조의를 표하는 날 [현충일, 국가장 기간 등]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 답니다.

 


 

3. 태극기 보관 및 관리 방법

태극기를 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보관이 중요합니다.

  • 태극기를 사용한 후 깨끗하게 세탁한 뒤 보관해야 합니다.
  • 태극기가 훼손되었거나 변색되었다면 국가보훈처나 동사무소를 통해 새 태극기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훼손된 태극기를 버릴 때는 태극기 전용 수거함을 이용하거나 태우는 것이 예의입니